미국 주식

SCHD를 월30만원씩 20년간 투자하면 어떻게 될까?

qdte 2024. 10. 27. 11:59
반응형

SCHD(Schwab U.S. Dividend Equity ETF)를 월 30만 원씩 20년간 적립했을 때 예상 수익률을 계산해보겠습니다. SCHD는 배당 성향이 높은 미국 대형주에 투자하는 ETF로, 안정적인 배당 수익과 장기적 자본 성장을 기대할 수 있는 종목입니다. 계산에 필요한 몇 가지 가정을 정리하고 예상 결과를 살펴보겠습니다.

---

### 1. **가정 설정**
   - **월 투자 금액**: 30만 원
   - **투자 기간**: 20년 (240개월)
   - **SCHD의 연평균 수익률**: 과거 약 10% (배당 포함)
   - **배당 재투자**: 배당금은 재투자된다고 가정
   - **복리 계산**: 매월 적립하면서 복리 효과를 적용

위 가정에 따라 계산해 보겠습니다.

---

### 2. **예상 투자 결과**

월 30만 원씩 20년간 적립하고 연평균 수익률을 10%로 설정하면, 최종 투자액은 아래와 같습니다.

```python
# 초기값 설정
monthly_investment = 300000  # 매월 투자 금액 (30만 원)
years = 20  # 투자 기간 (20년)
annual_return = 0.10  # 연평균 수익률 10%
months = years * 12  # 총 투자 개월 수

# 복리 계산
future_value = 0
for _ in range(months):
    future_value = (future_value + monthly_investment) * (1 + annual_return / 12)

future_value
```

---

### 3. **결과 해석**

계산 결과, 월 30만 원씩 20년간 적립하면 약 **2억 3천만 원** 이상의 투자 결과를 예상할 수 있습니다.

### 4. **수익 분석**
   - **총 투자 원금**: 7,200만 원 (30만 원 x 240개월)
   - **총 예상 수익**: 약 1억 6천만 원 이상
   - **연평균 10% 수익률 기준**으로 복리 효과가 크게 작용하여 장기 투자 시 상당한 자산 증식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.

### 5. **리스크와 고려 사항**
   - **수익률 변동**: SCHD의 과거 연평균 수익률이 10%였지만, 미래의 수익률은 시장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. 경제 상황이 불안정하거나 배당이 줄어드는 경우 수익률이 하락할 수 있습니다.
   - **배당 재투자**: SCHD의 배당금은 재투자가 중요한 요소로 작용합니다. 배당금을 재투자하지 않으면 예상 수익은 더 낮아질 수 있습니다.
   - **환율 변동**: SCHD는 미국 ETF이므로, 환율 변동이 한국 원화 기준의 수익률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.

---

### 결론

SCHD에 매달 30만 원을 20년간 투자하면 연평균 10% 수익률 기준으로 약 2억 3천만 원의 자산을 형성할 수 있습니다. 이 수익의 대부분은 복리 효과로 인한 자본 증식과 배당 재투자로 인한 성장에서 발생하는 만큼, 장기적인 시각을 가지고 꾸준히 적립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

그림. SCHD 30만원씩 20년간 투자 시

반응형